본문 바로가기
취업/기록

D - Day 93 - 1 (함수에 대한 기본)

by p_human 2021. 6. 15.

오늘부터 글을 초등학생 또는 일반인이 해당 글을 보아도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겠습니다.

우리는 흔히 코드의 반복, 재사용성을 위해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를 함수 또는 객체로 만듭니다. 그리고 이 함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오늘은 함수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겠습니다.

함수의 선언 및 정의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 한 줄로 간단한 설명이 필요한 코드일 때 사용합니다.
/* 여러 줄로 설명이 필요한 코드일 때 사용합니다. */
function something(){ //소괄호 안에 매개변수라는 것도 들어갑니다. 
    // 어떤 일을 수행합니다.
}


위의 형태를 자세하게 풀어보면 함수의 이름은 something이고, 입력값도 없이 그저 주어진 어떤 일을 수행합니다.

그리고 입력값이 없다고 표현을 했는데, 이는 위의 예제에서 적어놓은 것과 같이 매개변수라고 표현합니다.

또한 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는 반환값이 있을 수도 있는데, 이 때는 다음과 같이 return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function getName(){
    const name = 'god';
    return name;
}

위에 예제에서 const, return, ';'이라는 키워드가 새로 나왔습니다.

const name = 'god';

위의 한 줄의 코드를 설명해보면, "name이라는 변수에 'god'이라는 문자열을 저장할건데, 이거 변경되면 안되니까 나중에 이게 변경된다면 나한테 알려줘"라는 말입니다.

그러니까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const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 및 초기화를 할 때 값이 지정이 되고 나중에는 변경이 불가능합니다.

그리고 const로 변수를 초기화 할 때는 무조건 어떠한 값이 들어가야 합니다. 만약 아무런 값으로도 초기화가 안된다면 사용하고 있는 IDE에서 오류가 뜰 것입니다. 어쨌든 이게 제가 생각하는 const의 의미입니다. 좀 미심쩍은 부분이 있다면 다른 블로그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두 번째 키워드인 return은 어떤 값을 반환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값입니다. 위의 함수를 호출하려면 다음과 같은 간단한 방법을 통해서 호출이 가능합니다.

const name = getName();
console.log(name); // god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 ';'(세미콜론)는 거의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하는 코드 한 줄의 끝을 나타내기 위한 하나의 엄연한 문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