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3 집중이 안된다 알바를 마치고 운동을 하고 나서 공부에 집중을 하려고 딱 앉았더니, 그대로 잠들어버렸다. 오늘은 좀 몸이 힘들었나보다. 어떻게 하면 집중을 잘할 수 있을까? 최근 들어 공부에 집중이 잘 되지 않아서 유튜브에서 지나가다 본 책을 구입해서 읽었다. 그 책은 크리스 데일리가 쓴 하이퍼포커스라는 책인데, 집중을 어떻게 하면 잘할 수 있고, 집중을 함으로 인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좋은 영향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다. 책에서 말한대로 어떤 일을 하고 있을 때 최대한 방해되는 것들을 내 앞에서 치우고, 어떤 일에 집중을 하기 위해서 그 날 할 일 목록을 3개를 작성하고 실천하고 있다. 실천 한지 이틀이나 됐다!! 6개월 전에 나와 지금 나를 비교하면 지금 내가 훨씬 났다.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말이다. 좀 .. 2021. 6. 16. D - Day 93 - 2 (자바스크립트 async, await 문법) 안녕하세요 이틀 만에 올립니다. async와 await 은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 중에 가장 최근에 나온 문법입니다. async, await 문법은 기존의 비동기 처리 방식인 콜백 함수와 프로미스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용하기 쉽도록 문법이 간단하게 되어있습니다. async 문법을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 이 async를 함수 앞에 붙여줍니다. // async - await 기본 문법 async function 함수명() { await 비동기_처리_메서드_명(); } 위의 예제처럼 function 앞에 async를 붙이면 해당 함수는 무조건 이행 상태의 프로미스 객체를 반환합니다. 다음은 간단한 문자열을 반환하는 async 함수의 정의와 호출에 대한 예제입니다. async function getName(){.. 2021. 6. 15. D - Day 93 - 1 (함수에 대한 기본) 오늘부터 글을 초등학생 또는 일반인이 해당 글을 보아도 이해하기 쉽게 작성하겠습니다. 우리는 흔히 코드의 반복, 재사용성을 위해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를 함수 또는 객체로 만듭니다. 그리고 이 함수를 선언하기 위해서는 function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오늘은 함수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겠습니다. 함수의 선언 및 정의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집니다. // 한 줄로 간단한 설명이 필요한 코드일 때 사용합니다. /* 여러 줄로 설명이 필요한 코드일 때 사용합니다. */ function something(){ //소괄호 안에 매개변수라는 것도 들어갑니다. // 어떤 일을 수행합니다. } 위의 형태를 자세하게 풀어보면 함수의 이름은 something이고, 입력값도 없이 그저 주어진 어떤 일을 수행합.. 2021. 6. 15. D - Day 95 (Javascript Promise) 자바스크립트의 Promise문법은 Callback Function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ECMAScript 2015에 추가된 문법입니다. 콜백 함수의 단점은 대표적으로 콜백 지옥이 있습니다. 콜백 지옥은 콜백 함수는 비동기에 사용되는데 함수 내부에 콜백함수를 동기적으로 실행되게끔 코드를 작성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입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 step1(function (value1) { step2(function (value2) { step3(function (value3) { step4(function (value4) { step5(function (value5) { // 탈출 }); }); }); }); }); 위와 같이 단순한 형태를 가진 함수가 겨우 5번 정도 중첩됬을 뿐인데, 잘 이해가 되질 않.. 2021. 6. 13. D - Day 97 (자바스크립트 Callback Function) 자바스크립트의 비동기 처리에 대해서 공부를 했습니다. 비동기 처리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콜백 함수, Promise, async - await 문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오늘은 콜백함수에 대해서만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필요한 준비물은 적당한 두뇌와 인터넷 그리고 손만 있으면 됩니다. 콜백함수는 함수를 바로 실행시키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함수 내부에서 원하는 시점에 실행을 시킬 수 있는 함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함수의 호출방식을 구분하기 위해서 콜백함수라고 구분짓는 것이지, 콜백 함수라는 것이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음 예를 보면 바로 이해가 될 것입니다. setTimeout(function () { console.log("working"); }, 1000); 위의 예제는 자바스크립.. 2021. 6. 11. D - Day 98 (Event Delegation) 오늘은 자바스크립트에서의 이벤트 핸들링에 대해서 공부를 했습니다. 브라우저가 이벤트를 감지하는 방법에는 이벤트 버블링, 이벤트 캡쳐로 2가지가 있습니다. 이벤트 버블링 임의의 요소에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현재 요소에서 상위 요소로 이벤트가 위로 전파되는 특성입니다. 이벤트 캡쳐 이벤트 버블링과는 정반대로 상위 요소에서 이벤트가 발생했다면 하위 요소로 전파되는 특성입니다. 이벤트 위임 해당 내용을 수월하게 이해하려면 이전에 필요한 내용이 이벤트 버블링, 이벤트 캡쳐입니다. 이벤트 위임의 개념은 "상위 요소에서 하위 요소의 이벤트를 제어하는 방식"입니다. save load search class ButtonList { element; constructor(element) { this.element = el.. 2021. 6. 10.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